Air Protocol SolutionSystem
활용분야에 따라 여러 도입사례를 제안합니다. 보다 편리하고 완벽한 자산관리 및 파트너의 생산공정을 서포트합니다.
Air protocol (Wireless)

RFID 개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는 자동인식(Automatic Identification)기술의 하나로써 데이터 입력장치로 개발된 무선(RF:Radio Frequency)으로 통하는 인식기술이다.
Tag안에 물체의 ID를 담아 놓고, Reader와 Antenna를 이용해 Tag를 부착한 동물,사물,사람 등을 판독, 관리, 추적할 수 있는 기술이다.
RFID기술은 궁극적으로 여러 개의 정보를 동시에 판독하거나 수정, 갱신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기에 바코드 기술이 극복하지 못한 여러가지 문제점들을 해결 또는 능동적으로 대처함으로써 물류, 보안 분야 등 현재 여러 분야에서 각광 받고 있다.

RFID 기본구성
고정형 리더기 UFR-01은 물류창고관리, 자산관리, 발권시스템, 도난방지시스템 등의 산업환경에 적합한 리더기로서 다양한 Application을 바탕으로 고객의 환경에 최적화 된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하드웨어 구성요소
하드웨어 - 리더, 태그, 안테나로구성, 주파수 대역별로 리더 및 태그의 크기 및 형태가 변함
태그 ISO규정 및 EPC, 135Khz미만, 13.56Khz, UHF, 2.45Ghz
Reader 시스템구성 : 송/수신부, 제어부, 증폭부, 통신부 / 일대다수통신 : Anti-Collision
Antenna 주파수 대역에 따라 안테나 형태가 변함
RFID 주파수 특성
주파수 | 저주파 | 고주파 | 극초단파 | 마이크로파 | |
125 / 134 KHz |
13.56 MHz |
433.92 MHz |
860-960 MHz |
2.45 MHz |
|
인식거리 |
60 Cm 미만 |
60 Cm 까지 |
50-100 m 까지 |
3.5-10 m 까지 |
1m 이내 |
일반특성 |
- 비교적 고가
|
- 저주파보다 저가
- 잛은 인식거리와 대충 태그 인식이 필요한 응용분야에 적합 |
- 긴 인식거리
- 실시간 추적 및 컨테이 너 내부 습도, 충격 등 환경 센싱 |
- IC기술 발달로 저가로
생산 가능 - 다중 태그 인식 거리와 성능이 가장 뛰어남 |
- 900MHz대역 태그와
유사한 특성 - 환경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음 |
동작방식 | 수동형 | 수동형 | 능동형 |
능동/수동형 |
능동/수동형 |
적용분야 | - 공정자동화
- 출입 통제/보안 - 동물관리 |
- 수화물관리
- 대여물품관리 - 교통카드 |
- 컨테이너 관리
- 실시간 위치 추적 |
- 공급망 관리
- 자동 통행료 징수 |
- 위조 방지 |
인식속도 | 저속 고속 | ||||
환경영향 | 강인 민감 | ||||
태그크기 | 대형 소형 |
Obstacle Loss Factor(전파 경로상의 장애물에 의한 손실)
구분 | 투과손실 | ||
Min. |
Median |
Max. |
|
넓은 창문으로 된 두꺼운 콘크리트 |
9dB |
11dB |
12dB |
넓은 창문으로 된 25cm 두꺼운 콘크리트 |
4dB |
5dB | 5dB |
창문이 없는 25cm 두꺼운 콘크리트 |
10dB |
13dB | 18dB |
이중 콘크리트(2x20cm) |
14dB | 17dB | 20dB |
얇은 콘크리트(10cm) |
3dB |
5dB | 7dB |
25cm 두께의 벽돌, 작은 창문 |
3dB |
4dB | 5dB |
철제 벽, 1cm 두께의 유리 |
9dB |
10dB | 13dB |
유리 벽 |
1dB |
2dB | 3dB |
철근을 넣은 유리 벽 |
7dB |
8dB | 9dB |
ISO 18000-6C (EPC C1 GEN)

태그의 동작원리
태그(Tag)에 목적에 맞는 정보를 입력당하상품에 부착
리더(Reader)에서 안테나를 통해 발사된 무선주파수 태그에 접촉
태그는 주파수에 반응하여 입력된 데이터를 안테나(Antenna)로 전송
안테나는 전송 받은 데이터를 디지털신호로 변조하여 리더에 전달
리더(Reader)는 데이터를 해독하여 컴퓨터 등으로 전달

전파환경
지향성 / 무지향성, 원형편파 / 선형편파 및 안테나 이득 / 빔폭 제어를 사용자 요구사항에 맞추어 다양한 현장 상황에 적합한 안테나 지원합니다.